본문 바로가기
경제 생활/기업 분석

롯데쇼핑 주가, 지금 바닥 일까? | 실적·차트·수급·해외 성장까지 총정리

by 풍요한삶 2025. 4. 6.
반응형

 

"요즘 롯데쇼핑이 꿈틀대는 것 같더라"
과거 영광을 뒤로하고 긴 침체를 겪었던 롯데쇼핑이 최근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급격히 상승한 주가, 높아진 배당수익률, 그리고 주목받는 동남아 진출 성과까지.

지금 이 기업, 다시 주목해볼 타이밍일까요?

이 글에서는 롯데쇼핑의 실적 흐름, 차트 시그널, 기관 매매 동향, 리포트 전망, 그리고 재무구조 개선까지 여러면으로 저의 생각과 함께 분석 해보겠습니다.

 

기업 개요

롯데쇼핑은 국내 최대 유통그룹인 롯데그룹의 유통 계열사입니다.

롯데 마트 로고
롯데 마트 로고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백화점(롯데백화점)
  • 전자제품 전문점(하이마트)
  • 마트(롯데마트), 슈퍼(롯데슈퍼)
  • 홈쇼핑(롯데홈쇼핑)
  • 컬처웍스(롯데시네마)
  • 이커머스(롯데ON)

소비자로서도 친숙한 브랜드가 많죠. 우리는 종종 이 기업의 서비스를 무의식 중에 이용하고 있는 셈입니다.

최근에는 동남아 매장 확대, 자산재평가, 이커머스 적자 축소, 배당 유지 등 구조적인 개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산업과 시장 환경

국내 유통산업: 오프라인 정체, 온라인 경쟁 치열

  • 백화점은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지만 성장성은 제한적.
  • 마트와 슈퍼는 쿠팡, 마켓컬리 같은 온라인 강자에 밀려 정체.
  • 이커머스 시장은 성장 중이나 롯데는 아직 점유율이 낮음.

해외시장: 동남아가 희망

  • 인도네시아·베트남에서 67개 매장을 운영 중.
  • 2024년 해외 영업이익 418억 원(+116%), 특히 베트남은 고성장 중.
  • 젊고 소비여력 있는 인구가 많아 롯데의 성장동력으로 부각.

요약: 국내는 한계, 해외는 기회. 특히 베트남은 한국형 종합몰 전략이 통한 대표적 사례로 주목됨.

베트남 다낭의 롯데마트
베트남 다낭의 롯데마트

베트남의 롯데마트는 어떤곳?

동남아의 롯데마트를 잠시 설명드리자면,

저희 가족이나 회사 워크숍으로 동남아를 몇 번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가격도 괜찮고, 짧게 쉬고 오기엔 정말 좋은 여행지잖아요.
그런데 베트남 여행 일정표를 보다 보면 항상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롯데마트 방문’입니다.

처음엔 좀 웃겼습니다.
“한국에서도 매주 가는 마트를, 베트남까지 와서 또 간다고?”
그런데 막상 가보니까, 생각이 좀 달라졌습니다.

한국인은 물론이고, 현지인과 다른 나라 관광객들까지 북적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뭔가 관광지라기보단, 일상과 여행이 섞인 생활 밀착형 공간 같은느낌??

저도 여기서 기념품을 사고, 호텔에서 먹을 간식도 사며, 마치 현지에 사는 듯한 경험을 했습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이게 바로 해외 매출 5,000억 원의 실체구나…”

 

 

돈 잘 벌고 있는지?

3-1 재무 흐름과 구조 변화

롯데쇼핑의 2024년 연결 기준 실적은 매출 13조 9,866억 원, 영업이익 4,731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매출은 3.9% 감소, 영업이익은 6.9% 감소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수익성만 보면 단순히 ‘감소했다’는 표현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2024년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이 상당히 포함된 결과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통상임금 소송 관련 충당금 약 532억 원이 반영되어 실제 체감 수익력은 훨씬 높았던 셈이죠. 이를 제외하면 실질 영업이익은 약 5,264억 원 수준으로 해석됩니다​

순이익은 984억 원 손실로 적자 전환되었지만, 자산재평가 관련 회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회계상 손실이지, 실제 현금 유출과 직결되는 구조는 아닙니다.

 

주요 재무제표

 

수익성과 안정성 지표

항목 2023년 2024년 변화
영업이익률 3.5% 3.4% -0.1%p
순이익률 1.2% -0.7% 적자전환
ROE(자기자본이익률) 1.8% -7.4% 하락
PBR(주가순자산비율) 0.2배 0.1배 낮은 밸류에이션 유지

 

전반적으로 수익성은 감소세를 보였지만, 기업가치는 여전히 낮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ROE는 마이너스 전환됐지만, 이는 일회성 손실의 영향이 크며 구조적 문제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PBR이 0.1배에 불과하다는 것은 자산 대비 기업가치가 과도하게 저평가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죠​

 

 

3-2 현금흐름과 재무구조

롯데쇼핑의 현금흐름은 숫자보다 그 흐름이 더 중요합니다. 아래는 2024년 연결 기준 현금 흐름 요약입니다.

항목 금액(억원) 설명
영업활동 현금흐름 15,879억 원 안정적 현금창출 유지
투자활동 현금흐름 -10,676억 원 설비 투자 확대, 자산 매입 중심
재무활동 현금흐름 약 -2,300억 원 차입금 상환 및 배당 지급 반영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변화 -3,237억 원 일시적 감소 (투자 확대에 기인)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1.5조 원 이상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자활동 현금유출이 1조 원을 넘은 것은 단기적으로 부정적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매장 리뉴얼, 물류 인프라 확충, 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가 중심이었기 때문에 전략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됩니다.

재무구조 개선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자산재평가를 통해 부채비율은 2023년 183%에서 2024년 129%로 뚝 떨어졌습니다. 유동비율도 56.1%로 소폭 상승하며, 단기 유동성도 개선된 모습입니다.

 

요약하면,

  • 수익성은 일회성 요인으로 주춤했지만, 실질 영업력은 오히려 개선되고 있음
  • 현금창출력은 견조하고, 투자 확대는 중장기 전략과 연결됨
  • 자산재평가 이후 재무구조가 뚜렷하게 개선된 상태

👉 현재 롯데쇼핑은 단기 이익 감소보다, 체질 개선과 구조적 안정에 초점이 맞춰진 시기에 있다. 투자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는 ‘회복 기반을 다진 시기’로 평가할 수 있다.

차트 분석

롯데쇼핑 일봉
롯데쇼핑 일봉
롯데쇼핑 주봉
롯데쇼핑 주봉

  • 일봉 기준: 최근 거래량 동반한 강한 양봉. 5% 이상 상승.
  • 주봉 기준: 60일선 돌파 후 눌림목에서 재반등. 바닥 찍고 상승 초입 신호.
  • 월봉 기준: 장기 하락 이후 52,000원대 저점에서 27% 이상 반등.

현재 주가는 65,800원으로, 대부분 증권사들의 목표주가 75,000~85,000원 대비 여전히 업사이드 존재.

 

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투자자별 매매동향

  • 4월 첫 주 동안 기관은 연속 순매수, 특히 4월 4일에는 +99,634주 대량 매수
  • 외국인은 오히려 순매도 지속. 보유율 8.0%로 낮은 편.
  •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대신증권 모두 목표가 80,000원 제시

증권사별 적정주가및 투자 의견

 

리포트 내용 요약:

  • "1분기 실적 개선"
  • "통상임금 등 일회성 비용 제거 시, 연간 이익 개선 뚜렷"
  • "재무구조 개선, PBR 0.1배는 하방 지지력 충분"

 

이 회사, 앞으로 더 성장성은?

① 사업부별 효율화 성과

  • 이커머스 적자: 685억 → 365억으로 절반 이상 축소
  • 하이마트: 3년간 120개 매장 정리하며 흑자 전환 준비
  • 백화점 리뉴얼과 영화관 컬쳐웍스의 흑자 전망

② 자산재평가와 재무 구조

  • 토지 장부가 8조 → 17.7조로 증가
  • 부채비율 190% → 128.6%로 하락
  • 이자비용 축소 기대 + 배당 여력 강화

③ 동남아 확장

  • 2024년 기준 해외 매출 1.6조 / 영업이익 418억 원
  • 베트남 하노이점은 “롯데월드급 종합 경험 공간”
  • 올해 추가 출점도 계획 중

요약: 실적 회복 + 재무 안정 + 해외 성장의 3박자가 동시에 맞춰지고 있는 시기.

 

사업보고서를 통한 롯데쇼핑의 주요 미래 전략 요약

1. 프리미엄 복합쇼핑몰 ‘타임빌라스’ 확장

타임빌라스 확장에 대한 사업보고서 내용

  • 기존 백화점, 아울렛, 쇼핑몰의 강점을 결합한 Convergence 모델로 개발.
  • 세계적인 건축가들과 협업하여 지역 랜드마크화 추진.
  • 1호점은 2024년 수원점 리뉴얼 오픈, 이후 송도점·수성점 등에 확대 예정​.

2. 이커머스 전략 강화 및 DT 전환

  • ‘롯데ON’ 통합 플랫폼을 통한 온·오프라인 시너지 확대.
  • 빅데이터 기반 Data Lake 운영,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고도화.
  • 라이브커머스 확대, 고객과 실시간 소통하는 쇼핑 환경 조성.

3. 해외 사업 투 트랙 전략

사업보고서에 나온 해외 사업 전략

  • 현재 베트남·인도네시아에 4개 점포 운영 중.
  • 기존 점포의 수익성 강화와 함께, 동남아 지역 신규 출점 확대 계획.
  • 현지 소비자 니즈 맞춤형 MD 운영으로 내실 강화 추진.

4. 영화관 ‘복합문화공간화’ 추진

  • 기존 영화 상영 외에도, 전시회·공연·체험 콘텐츠 접목.
  • 특히 베트남 영화관 사업에서는 객단가 개선을 위한 프리미엄관 확대현지화 마케팅 지속 중.

5. 홈쇼핑 사업 재편

  • 저마진 상품 축소, 상품 포트폴리오 재정비.
  • SNS커머스·라이브커머스 중심 구조로 전환 추진.
  • 수익성 중심 전략 전환으로 2024년 영업이익 급증​.

핵심 포인트

롯데쇼핑은 단순히 ‘오프라인 유통 공룡’에서 벗어나 디지털 유통 기업으로의 체질 전환을 진행 중입니다.
특히 타임빌라스 모델, 해외점포 내실화, 데이터 기반 커머스 전략은 단기 실적 개선뿐 아니라,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로 연결될 수 있는 핵심 축입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아직 숫자로 완전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향후 몇 년 안에 구조적 성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적보다 '방향성'이 중요할 때, 지금이 그 기업을 이해할 타이밍일지도 모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업보고서를 확인해주세요!

📌 롯데쇼핑 사업보고서

개인적 의견

롯데쇼핑은 한때 “지나간 유통 공룡”이라는 이미지가 강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턴어라운드’의 조건들이 하나둘 맞춰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 회계상 적자지만 영업현금흐름은 강건
  • 이커머스·하이마트 등 비효율 사업을 확실히 정리 중
  • 동남아 진출은 단순한 확장이 아닌 ‘현지화된 복합 경험 모델’로 진화

물론 여전히 전통 유통업체로서의 구조적 한계는 존재합니다. 하지만 2025년 실적 회복이 현실화되고, 시장이 이를 반영한다면 PER 9배 기준 주가는 8만 원 이상도 가능해 보입니다.

 

결론 (핵심 요약)

  • 주가는 바닥에서 반등했지만 여전히 저평가 구간
  • PBR 0.1배, 배당수익률 6%는 확실한 하방 지지선
  • 2025년 영업이익 6,000억 목표는 무리 없는 수준
  • 기관은 최근 대량 매수 중, 외국인은 비중 낮아 향후 추가 유입 여지도 있음

 

이 글은 개인적인 정보 정리와 공유를 위한 글이며, 투자 권유의 목적은 없습니다.
투자는 언제나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충분한 사전 조사와 본인의 판단이 꼭 필요합니다. 내 돈은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