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생활/기업 분석

퓨리오사ai 상장 관련주 알아보자!

by 풍요한삶 2025. 8. 11.
반응형

 

 

1. 퓨리오사AI는?

퓨리오사AI는 국내 AI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드물게 글로벌 무대 도전을 선언한 기업이다.
AI 연산에 특화된 자체 개발 칩 ‘워보이(Warboy)’를 앞세워, 엔비디아·AMD가 독점하는 고성능 AI 칩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최근 AI 서버, 데이터센터 시장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AI 반도체의 전략적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특히 ChatGPT, 생성형 AI 시장이 확산되는 가운데, GPU를 대체·보완할 수 있는 맞춤형 AI 반도체 수요가 늘고 있어,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FuriosaAI의 CEO인 June Paik이 2025년 6월 SuperAI에서 기조연설을 합니다.
FuriosaAI의 CEO인 June Paik이 2025년 6월 SuperAI에서 기조연설을 합니다.

2. 퓨리오사AI 기업 개요와 상장 계획

2017년 설립된 퓨리오사AI는 초고속 AI 추론·학습용 반도체를 설계·개발하는 팹리스(Fabless) 기업이다.
대표 제품인 ‘워보이’는 AI 데이터 처리 속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GPU 대비 전력 효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회사는 현재 시리즈 투자와 정부 AI 반도체 개발 프로젝트 지원을 기반으로 대규모 R&D를 진행 중이다.

네이버 뉴스 기사 이미지
출처: 네이버뉴스


하지만 내년까지는 상장계획이 없다는 뉴스기사가 나왔다.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칩 양산 체계 확립, 차세대 제품 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에 투입될 전망이었으나 앞으로의 횡보를 지켜봐야 할듯하다.

3.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동향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600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센터, 자율주행차, 생성형 AI 서비스 확산이 AI 칩 수요를 폭발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현재 시장은 엔비디아가 80% 이상 점유율로 절대 강자로 군림하고 있으나, AMD, 인텔, 구글, 아마존 등도 자체 AI 칩 개발로 경쟁 구도를 넓히는 중이다.
이런 환경 속에서 퓨리오사AI는 기술력·효율성을 무기로 틈새시장 공략과 국내·아시아권 데이터센터 수요 선점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4. 퓨리오사AI 관련 수혜주 분석

퓨리오사AI의 상장은 직접적인 AI 반도체 사업뿐 아니라, 관련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파급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① 벤처캐피털(VC) 투자사

  • DSC인베스트먼트: 퓨리오사AI에 수십억 원 규모 투자. 지분율은 1~3% 수준으로 추정되며, 상장 시 보유 지분 가치 재평가 기대.
  • TS인베스트먼트: 10억 원대 중반 투자, 지분율은 1% 내외 추정. IPO 흥행 시 단기 모멘텀 가능.

② 기술 협력사

  • 포바이포(4by4): AI 반도체 구동을 위한 고해상도·고속 이미지 센서 모듈 공동 개발. 자율주행·로보틱스 분야 확장 가능성.
  • 엑스페릭스(Xperix): AI 칩 저전력·고효율 설계를 위한 회로 최적화 및 테스트 솔루션 제공.

③ 사업 협력사

  •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해상 물류·스마트 선박 솔루션과 퓨리오사AI의 AI 컴퓨팅 기술을 접목해 차세대 스마트 물류 플랫폼 개발 추진.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엑스페릭스

 결국, 퓨리오사AI의 IPO는 단순히 한 기업의 상장이 아니라 AI 반도체-센서-테스트 솔루션-물류 플랫폼으로 이어지는 확장된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투자 포인트는 개별 기업의 협력 범위와 기술 상용화 속도에 달려 있다.

5. 실적 흐름과 재무 상황

비상장사 특성상 상세 재무는 제한적이지만, 최근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아직 적자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 영업이익: 적자 지속
  • 순이익: 적자 지속
  • R&D 비용 비중: 업계 평균 대비 높음

이는 성장 단계 기업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며, 본격적인 매출 발생 전까지 투자금 소진 속도를 관리하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6. 리스크 요인

퓨리오사AI는 성장 잠재력이 큰 기업이지만, 투자 시 고려해야 할 리스크도 분명하다.
첫째, 글로벌 경쟁 심화다. 엔비디아·AMD 같은 절대 강자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기술력뿐 아니라 시장 신뢰를 얻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양산 지연 및 수율 리스크가 있다. 칩 설계 단계에서 양산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은 수율 저하, 공정 최적화 지연 등의 변수가 많다.
셋째, 기술 격차 문제다. 해외 경쟁사 대비 연산 효율, 전력 효율, 가격 경쟁력에서 미세한 차이가 나도 시장 진입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RNGD 서버는 단일 공랭식 4U 섀시에 8개의 RNGD 가속기로 구성되어 있는 이미지
RNGD 서버는 단일 공랭식 4U 섀시에 8개의 RNGD 가속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7. 최종 결론

퓨리오사AI는 AI 반도체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지만, 현재는 상장 일정이 내년 이후로 미뤄진 상태이다. 단기적으로는 주가를 자극할 만한 이벤트가 제한적이며, 시장이 기대하는 모멘텀은 기술 상용화와 매출 성장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

중장기 성장 스토리가 분명한 만큼, 기술 개발 진척과 고객사 확대가 확인되는 시점이 곧 기회가 될 수 있다. 다만, 단기 상장 테마에만 의존한 투자는 변동성 확대와 손실 위험을 수반하므로 신중함이 필요하다.

퓨리오사ai 상장 관련주

반응형